안산손목통증 지속되는 이유 알아보세요
안산손목통증 지속되는 이유 알아보세요
안녕하세요, 안산튼튼병원 원장입니다.
오늘은 손목 통증, 특히 수근관 증후군과 염좌에 대해 여러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스마트폰을 오래 잡고 있다가 손목이 묵직해지거나, 키보드 타이핑을 몇 시간 했더니 찌릿한 통증을 느낀 적 있으신가요? 이런 증상들은 일상에서 크고 작은 불편함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손에 힘이 잘 들어가지 않아 물건을 자꾸 떨어뜨리거나, 스마트폰을 만지거나 마우스를 조작할 때 금방 피로감을 느끼게 되죠. 손은 매일 수없이 반복되는 움직임을 견디는 중요한 부위인데, 무심코 지나쳤던 통증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손목에 생길 수 있는 두 가지 대표적인 질환, 수근관 증후군과 염좌의 증상과 개선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드리겠습니다.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 안쪽을 지나는 정중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손가락 저림과 찌릿한 통증이 동반됩니다. 이 통증은 손바닥 방향에서 시작되어 엄지부터 약지 절반까지 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고, 손을 몇 번 털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가라앉기도 하죠. 반면, 염좌는 손목 바깥쪽이나 뒤쪽에 불편함이 집중되고, 움직이거나 꺾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 인대가 늘어나면서 통증과 붓기를 유발합니다. 이 두 질환 모두 조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손목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마디로, 수근관 증후군은 ‘저림과 감각 이상’, 염좌는 ‘움직임에 따른 통증과 붓기’가 주요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가벼운 손 사용 후 통증이 생겼다면, 우선 RICE 요법을 시도해 보세요. 손을 쉬게 하고(Rest), 얼음찜질로 부기를 가라앉히며(Ice), 탄력 붕대 등으로 압박하고(Compression), 손을 심장보다 높게 두어 부종을 줄이는(Elevation) 방법입니다.
하지만 통증이 며칠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손목을 눌렀을 때 통증이나 저림이 유발되는지 진찰하고, X-ray나 MRI를 통해 연부조직 손상이나 염좌 여부를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근육통인지, 신경 압박에 의한 질환인지 정확히 구별할 수 있죠.
수근관 증후군의 경우, 병변 부위를 곧게 유지하는 보조기 착용이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소염진통제나 스테로이드 주사를 병행해 염증을 줄이고, 물리요법으로 회복 속도를 높일 수도 있습니다.
통증이 가라앉은 뒤에는 스트레칭을 통해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로 6개월 이상 노력했음에도 저림이나 통증이 지속되거나 손 기능이 저하된다면, 수근관 이완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은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는 방식으로, 개방형은 피부를 3~5cm 절개해 병변을 제거하고, 관절경은 작은 절개를 통해 내시경 장비로 진행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죠. 수술 후에는 재활이 필수이며, 무리한 손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앞으로의 재발을 막기 위해 작은 습관을 바꾸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장시간 컴퓨터 작업 시 손목 받침대와 인체공학적 키보드, 마우스를 사용하세요.
스마트폰은 양손을 번갈아 사용하고, 엄지만으로 모든 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30~40분 작업 후에는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하고, 무거운 물건은 손바닥 대신 팔 전체로 들도록 하세요.
운동 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을 잊지 마시고요. 이런 질환들은 조기에 진단하고 제대로 치료하면 대부분 큰 후유증 없이 회복됩니다.
하지만 통증을 방치하면 만성적인 불편함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장기적으로 손목이 손상되어 일상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손목 통증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저희 안산튼튼병원에서는 영상 검사와 진찰, 그리고 증상을 바탕으로 개인에 맞는 치료를 제안합니다.
지금부터라도 작은 습관을 바꿔 손목 건강을 챙겨보세요. 여러분의 편안한 일상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네이버 지도
안산튼튼병원
map.naver.com